해외주식 거래할때 세금은..?




요즘 투자수단으로 해외 주식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2014년 1분기 해외주식 직접투자 규모가 

17억 600만 달러를 넘었고

전년 동기보다 36.2%나 상승한 수치라고 합니다

많이들 좋아하시는 애플이나 구글등

관심을 가졌던 종목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해외주식을 거래하시 위한 절차입니 다

증권사를 방문해서 계좌를 개설하야 되는데

신분증만 지참하고 가시면 됩니다

그 이후부터는 전화나 HTS로 주문하면

됩니다

 

<출처 : 매일경제>


그리고 해외주식을 거래하실때 유의할 점입니다

 화폐가치가 우리나라 원화와는 다르므로

그 주식의 주가 + 미국 달러 환율까지

신경 써야합니다

미국이 아닌 다른나라에 투자하더라도

어찌됐던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하므로

환율이 어떻게 되는지 

잘 염두해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세금도 우리나라와는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장된(코스피,코스닥) 주식은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입니다

하지만 해외주식은 양도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그러니 자동으로 세금을 떼고 주지 않고

 투자수익금을 다 돌려주는데

본인이 양도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됩니다
하지만 금융소득 종합과세가 되는 자산가들은
2000만원이 넘더라도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합산되지 않으니 좋을 것 입니다.



<출처 : 매일경제>

해외주식이 아니라 해외펀드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주식형 펀드는 주식의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이므로 주식형펀드는 배당소득세를 거의 

내지 않아도 되는 반면에

해외펀드는 배당소득세 15.4%에

혹시나 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게 되면

금융소득종합과세에 걸려

6~38%의 세금을 납부할수도 있으니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투자에 대해서  (1) 2015.05.13
8월 1일부터 LTV,DTI 가 완화됩니다  (0) 2014.07.31
금리인하 요구권을 아십니까?  (0) 2014.05.19
예적금 만기가 지나면..?  (0) 2014.03.20
ELD, ELS, ELF란  (0) 2014.03.08

변액보험 관리에 대해서




오늘은 변액보험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현재 보험업계 일도 5년째 되어가고 있는데

변액보험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수익이 왜 안나며...

사업비를 뛰어넘을 수 없을까..

등등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 중에 2가지 방법을 확실히 쓰면

되겠다고 생각을 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는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첫번째는 사업비를 어느정도 상쇄할려면

주가가 떨어졌을때 추가납입을 하는 방법입니다

누구나 아는 방법이지만 어느 정도의

주가에,어느정도 금액을 할지

그리고 알기는 하지만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분들은 적을것입니다

매월 적립식으로 납입하는데 주가가 떨어졌을때는

추가납입을 하면 사업비도 적고

보다 많은 좌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명품 가방이 할인을 하면 많은 분들이

백화점으로 뛰어가겠지요?

저는 그래서 주가가 떨어졌을때 추가납입을

꼭 하셔야 된다고 말씀드립니다.

예를 보시면




추가납입이 들어간 시점은 채 일년도 안된 분들인데

추가납입 한 펀드의 수익율은 상당히 좋습니다

추가납입 수수료는 보통 0%에서 아주 오래된 상품은 9%까지 다양하지만

최근 상품들은 다 5% 이내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펀드 변경입니다

변액보험은 변액종신이냐,변액유니버셜이냐,변액연금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종신말고 유니버셜이나 연금은 

적립금 이전이 어느정도 자유롭습니다

그리고 

변액보험은 월납보험같은 경우

처음에는 적금을 넣는 개념이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모여있는 돈도

커지고 있으므로 

적금과 예금이 같이 굴러가는 구조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매달 넣는 금액은 내가 원하는 펀드로 넣되

모여있는 예금성격의 목돈은 

리스크 관리를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유료 프로그램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림으로 보시면 




저 시뮬레이션은 목돈 1억이 2000년 1월부터 현재까지의

적립금 추이입니다 

파란선은 코스피고 빨간선은 제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 한 그래프입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채권으로 변경했다가 주가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주식으로 이전하는 전략입니다

주가가 크게 떨어질때 안전한 채권으로 

이전했을때의 효과가 큽니다

물론 여러가지 상황의 그래프가 나오지만 주가가 꾸준히

상승할때는 코스피보다 수익률이 적게 납니다

하지만 장기상품으로 수익이 많이 나는것 보다

리스크 관리가 되어 지면서 어느정도 수익율이

나는게 낫지 않을까 싶어서 도입했습니다

아직은 저도 검증중이지만

확실히 결과물이 나오면 

그 때 또 포스트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