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3. 11. 06:24 추천하는 책
얼마전에 잘 아는 지인분이
꼭 읽어보라고 강추해준 책이 있어서
제가 직접 읽어보고 너무 좋아서
추천해드립니다
그 지인분은 미국에서 살다와서 그런가
마인드가 좀 남다릅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보니 그 분이
왜 읽어보라고 했는지
그 분의 가치관,철학이 좀 더 이해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바는 이렇습니다
우리 인생에는 인도,서행차선,추월차선이
있는데
인도는 재무적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고 계획도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쾌락,이미지,일시적 욕구 때문에
평생을 직업이나 사업의 노예로 산다고 합니다
(이 부분에서 나도 이제 남에게 보이는
이미지때문에 옷을 사는걸 멈춰야겠다는
생각을 했네요..)
서행차선은 저의 모습이었습니다
5시에 일어나서 공부를 하고
토요일도 자기계발을 하고
정말 남들보다 더 열심히 사는것인데
이게 그냥 서행차선이었습니다
이게 잘못됐다기보다는 이 책에서 추구하는
바는 아니라는 겁니다
'커피한잔 마실걸 마시지 말고 아껴라!
월급의 10%는 주식과 퇴직연금에 투자해라!
등등은 부자가 될수는 있지만
그때는 60세가 되어서 부자가 될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은 공식으로 풀어보면 이렇게
됩니다
부 = 주요수입원(직업) + 부의 증식방법(투자)
부 = 원금가치 + 복리이자
원금가치 = 시간당 급여 * 근무시간
원금가치 = 연봉
결국은 내 몸이 일을 해야 돈을 벌수
있다는 것이죠
부자가 될수는 있지만 그 때 당신은
휠체어에 앉아서 돈을 쓸거냐 입니다
마지막으로 추월차선은
시스템을 만들어서
1,000% 10,000%의 수익율을 만드는 것입니다
결국은 생산자,창조자,발명가
이런사람들이 단기간에 어마어마한
부자가 된다는 말이죠
이 추월차선의 방정식은 이렇습니다
부 = 순이익 + 자산가치
순이익 = 판매 개수 * 단위당 이익
자산가치 = 순이익 * 산업승수
이 방정식은 보자마자 아!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사업과는 거리가
멀지만 저 식을 보니 정말
제 주변에 사업을 해서 돈을
많이 버시는 분들을 보니
연봉을 많이 받는 분, 상속받은 분
보다 자기 사업을 하시는분들이
돈을 많이 벌고 계셨습니다.
결론은 어떤 분야, 어떤 일을 해도
(꼭 사업만이 아님)
남이 만들어 놓은 시스템하에서는
그 시스템을 만든 사람이 돈을 벌어가고
내가 그 시스템을 만들어야 젊을때
부자가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많아도 100년을 사는데
시간을 지배당하면서
(정확히 말하면 주에 노동시간 5일 일하면
자유시간 2일을 확보한다)
사는데 그 시간이 돈보다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왠지 우리가 어릴적부터 듣던
아껴써라,공부 열심히 해라,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해라 등등의
조언은
'그냥 서행차선에서만 머물러라'는
의미가 된다는 말이 왠지
부정하고 싶지만 이제는 부정하기 힘든
것이 아닐까 합니다
저는 이 책을 보다 많은 분들이 읽으셔서
추월차선을 달리는 시스템을
많이 만드셨으면 좋겠습니다.
1cm+ (0) | 2014.06.27 |
---|---|
아파트에서 살아남기 (0) | 2014.04.30 |
한눈에 재무제표 보는법 (0) | 2014.04.16 |
2014. 3. 8. 08:07 투자
오늘은 모아놓은 자금을 거치해 놓는
정기 예금 역활을 하지만 좀 더 수익이
날 수 있는 상품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일단 일반 정기예금,거치식 펀드,랩 어카운트,
일시납 저축보험 등
목돈을 거치할수 있는 금융 상품은 많지만
안전하면서도 일반 예금 보다는 금리가 놓은
단기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 다
이렇듯 은행,증권사,자산운용사에 따라 여러가지
상품들이 있습니다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은행은 일단 무조건 안정성,
그다음 증권사의 중위험,중수익
자산운용사는 좀 더 수익 구조를 높인 형태입니다
이렇게 상품의 구조는 표를 보시고
정확히 어떻게 수익이 나고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ELD입니다
주가지수연계예금이라고 하는데
일반 은행의 정기예금과 거의 같지만
수익이 좀 다르게 납니다
일반 은행의 정기예금은 정해진 이자를 주지만
ELD는 1년 뒤의 주가에 따라서 수익이 틀려집니다
보시면
이렇듯 가입한 후
예를 들어 가입시 코스피가 2000이라면
1년뒤에 코스피가 1800에서 2200 사이에
있으면 4.5% 확정금리를 주는것입니다.
하지만 1800이하로 떨어져 있거나
2200이상으로 올라와 있으면
원금만 주는것입니다.
이건 양방향이고
올라간다에 투자하던지 내려간다에 투자하던지
상승형,양방향형,하락형 이렇게
ELD는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단점은 정기예금도 중도에 해지하면 거의 이자를
안주지만 이건 원금의 손실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ELS인데
파생결합증권이라고 불립니다
이건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한다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수익구조는 이렇습니다
코스피200(코스피 상위200개 종목만
뽑아놓은 지수)가
100으로 시작해서 120안에 있으면
최대 연 8%까지의 수익을 주고
100이하이거나 120이상으로 올라버리면
원금만 주는것입니다.
하락형은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DLS는 ELS와 구조는 똑같지만
투자가 주식이 아니라 원유,금,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ELF는 주가지수연계 펀드라고
ELS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그러므로 편입한 ELS가 수익이 나면
ELF도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이렇듯 EL 3총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ELD나
원금보장형 ELS는 일반 개인들에게는
안전하면서도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하고 추천해드립니다
투자는 어찌됐든 절대 돈을 잃지 않는다는
워렌버핏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다들 잘 알아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잘
알아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금리인하 요구권을 아십니까? (0) | 2014.05.19 |
---|---|
예적금 만기가 지나면..? (0) | 2014.03.20 |
가로저축과 세로저축 (0) | 2014.02.24 |
주택청약저축통장 활용법 (2) | 2014.02.10 |
펀드란 (0) | 2014.02.02 |
Copyright © 금융,부동산,그리고 IT 스타트업 운영기록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