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3. 5. 02:21 매일매일 경제뉴스
오늘은 연말정산이 왜 13월의 월급이 아니라 13번째
세금폭탄이 되버린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왜 토해내는지 어떤 방식으로 계산이
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란걸 이해하셔야 되는데
우리가 매월 급여를 받을 때 세금을
떼고 받을 것입니다
그 세금이 어려운 말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인데
'당신이 월급이 얼마고 부양가족이 몇명이니
일단 이만큼 떼겠습니다'
라는 개념입니다
그래서 매달 대강 뗀 세금(근로소득 간이세액)이랑
연말에 실제로 연말정산해서 나온 세금이랑
비교해서 매달 더 많이 걷었으면 환급해주고
매달 뗀 것보다 실제로 내야할게 더 많으면
토해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근로소득 간이세액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 나의 급여명세서에 나오지만
국세청에 들어가도 나와있습니다
제가 표를 보여드리면
<출처 : 극세청 홈텍스>
이렇듯 월급별로 간애세액표가 나와있으니 우리가 어렵게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본인의 급여에 부양가족만 넣으면
여기서 나오는 금액에 12를 나누면 매달 월급에서
떼가는 세금인겁니다
이제 매달 떼가는 금액은 알았고
이 금액과 실제 연말정산한 금액을
계산해야 하는데
연말정산의 흐름을 먼저 이해 하셔야 합니다
흐름은 이렇습니다
복잡 한데
쉽게 설명을 드리면
일년간 받는 총 연봉에서
근로소득 공제란걸 제일 먼저 해줍니다
그 다음 인적공제를 해주고
연금보험료 공제를 한다음
특별소득공제,그밖의 소득공제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과세표준(세금을 메기는 근거)가
나오게 되는데
그때 내가 과세표준이 1200만원 이하냐 4600만원 이하냐
8800만원 이하냐 1.5억 이하냐 1.5억 이상이냐에 따라
세금이 6% , 15% , 24%, 35%, 38%로 나뉘게 됩니다
그런 다음 세액공제(실제로 세금에서 빼주는 것)을
하면 이제 실제로 연말정산한 세금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근로소득 간이세액을 통해 매달 대략 뗐던 금액과
이금액을 비교해서 추징이냐 환급이냐가
나오게 됩니다
제 블로그에 인적공제 / 특별공제 / 그밖의 소득공제 / 세액공제 등
연말정산이 너무 광범위 해서 따로 따로 올려놨으니 보시고
한 부분별로 따로 알아보시면 도움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드디어 장기펀드 출시 (0) | 2014.03.13 |
---|---|
10일만에 임대소득과세 보완책발표 (0) | 2014.03.11 |
월세 소득에 대해 바뀌는 점 (1) | 2014.03.03 |
올해부터 완화되는 양도소득세 (0) | 2014.02.26 |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사이트 (0) | 2014.02.18 |
2014. 2. 24. 06:12 투자
오늘은 저축방법 중 가로저축과 세로저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설계 관점에서 은퇴하기 전까지
꾸준히 저축이나 투자를 해야 할텐데
매달 어떻게 저축해야 하는지
큰 그림으로 보면 어떤 저축방법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로저축은 이렇습니다
말 그대로 가로저축은 그때 그때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 소진하고
그 다음 재무목표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 소진하는
흔히 적금만 하는 저축입니다
적금 만기가 될 때 쯤에는 이상하게 집 TV를 교체해야 할 것 같고
자동차도 바꾸고 싶고
이런 유혹에 빠지기도 쉽습니다
그 다음 세로저축입니다
이 저축방법은 재무목표에 따라 만기도 다르고
투자수단도 다양하게 하는 저축방법입니다
비교적 짧은 저축기간에는 안전한 은행 상품 위주로,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길면 주식,채권,원자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는 저축을 할 때도 이렇게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A씨와 B씨가 있는데
A씨는 매달 100만원으로 저축을 시작해서 자녀가 크면
사교육비나 큰 집으로 이사가면 대출상환 등
시간이 갈수록 저축액이 줄어들거라 생각하고
저축액을 줄여나가ㅗ
B씨는 처음에는 월급이 작다고 25만원부터 시작해서
월급이 오르면 저축액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해서
저축을 시작했습니다
60세에 결과는 어땠을까요?
결과는 이렇습니다
둘 다 투자원금은 2억 1천만원인데
금액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납니다
왜 그러냐면 A씨는 첨부터 큰 금액으로 저축을 하면서
10년 단위로 저축액을 줄여가면서
적금 같은 안전한 금액을 줄이고
주식,채권,실물자산 등에 투자한 금액은
일정부분 계속 투자를 해서
복리 효과도 보고
실제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자녀교육비,주택 이사, 부모님 용돈 등
저축액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B씨의 저축은 첨부터 저축한 금액은 적고
현실적으로 월급오르는 것만큼 저축액을 늘리기가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40~50대에 저축한 금액은 30대부터 한 금액에
비해서 복리효과도 적기 때문입니다
꼭 이게 정답은 아니고 근로소득자나 자영업자 등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렇게 하는
방법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적금 만기가 지나면..? (0) | 2014.03.20 |
---|---|
ELD, ELS, ELF란 (0) | 2014.03.08 |
주택청약저축통장 활용법 (2) | 2014.02.10 |
펀드란 (0) | 2014.02.02 |
적금과 예금의 이자계산법 (0) | 2014.01.30 |
Copyright © 금융,부동산,그리고 IT 스타트업 운영기록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