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컨설팅'에 해당되는 글 91건

예적금 만기가 지나면..?




오늘은 다들 많이들 가입하고 계신

은행의 예적금이 만기가 되면

어떻게 이자가 붙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은행의 예금이나 적금은 만기가

1년에서 3년정도로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정해진 이자를 주니

신경쓸 필요가 없는데 

만기가 지나고 나면

어떻게 이자가 붙는지 잘 모르실겁니다

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3%의 적금이라고 하면

보통은 만기가 되면 1달이내에는 50%인

1.5%의 금리를 주고

3개월 이내에는 금리의 30%인 1%의 이자가

붙을것이며 3개월이 지나고 나면

원래 약속했던 금리의 15%인 0.5% 이자가

붙을것입니다

결론은 예금,적금은 만기가 되면 무조건

빨리 가서 찾는게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늦게 찾으면 그동안 0.1%라도 높은 금리를 주는곳을

찾아봤던 노력이 헛수고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기가 공휴일이면 하루라도 빨리 

찾는게 좋습니다 

왜냐면 하루 일찍 찾으면 중도해지로 보지 않기

때문에 약속한 이자에서 하루치를 빼고 주지만

공휴일 지나고 가면 

처음에 가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만기의 약속한 금액을 주겠지만 

그 돈에 대한 이자는1개월 이내이므로 

그 다음날부터는 금리의 50%만

주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공휴일 하루전에 찾아서 바로 다시 예금하는게

공휴일동안은 정해진 이자가 붙으니까

이게 훨씬 유리합니다


이게 처음에 우리가 모르고 싸인한 약관에 

다 명시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제는 소비자, 고객이 더 똑똑해져야

보다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거래할때 세금은..?  (0) 2014.05.27
금리인하 요구권을 아십니까?  (0) 2014.05.19
ELD, ELS, ELF란  (0) 2014.03.08
가로저축과 세로저축  (0) 2014.02.24
주택청약저축통장 활용법  (2) 2014.02.10

국민연금에 대해




거의 전 국민이 가입하고 있는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는 국민이면 모두 가입하는 

강제적인 연금제도 입니다


꼭 알아두어야할 몇 가지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히 알아볼려면 너무나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이해하시기 편하게 만들어봤습니다


장점은 매년 물가상승율에 따라 인상됩니다.

다른 퇴직연금,개인연금 같은 경우에는 물가상승율 반영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계층간, 기간평균간 분배가 됩니다 소득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평균을 내서

그걸로 연금 계산이 되니 고소득의 소득을 저소득자에게 배분하는 효과가 있는

계층간 소득재분배와 

본인의 가입기간 중 전 급여의 평균액을 산정하는 소득비례 반영이 됩니다

그리고 출산크레딧이라고 2자녀는 12개월,3자녀는 30개월,4자녀는 48개월

5자녀 이상은 50개월을 가입기간에 합산해줍니다

군복무에 대해서는 6개월분을 인정해줍니다


단점은 국민연금 구조상 지금 우리가 내는 국민연금을 우리 부모님 세대가

받는 구조인데 현재 출산율이 낮아서 우리가 받을때 쯤에는 밑에 세대가

적으면 부담이 많으므로 적게 주거나 그럴리는 없겠지만 재정이 많이 

부족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래서 계속 소득대체율(퇴직전의 소득을 보전해주는것)이 현재는 40%밖에

되지 않으므로 나머지 60%는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으로 보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듯 필수이지만 너무나 어려운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세히 설명드리고 싶지만 너무나 어렵고 방대해서 본인이

국민연금관리공단에 들어가서 확인하는 길이 가장 쉽게 아실 수 있을겁니다


내 연금액 알아보기

http://www.nps.or.kr/jsppage/csa/csa.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