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 24. 08:52 매일매일 경제뉴스
요즘 한참 개인정보 유출 때문에 불안하시죠..?
한국 인터넷진흥원에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라고 있습니다.
https://www.eprivacy.go.kr/mainList.do
거기에 들어가셔서 본인 인증하시면
내가 어느 웹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는지
알려주고 탈퇴도 시켜줍니다.
다른 정보보다 우리 주민번호는 나이,성별,출생지 까지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다고 하지요.
저는 아주 많네요...
이렇듯 5년전까의 자료가 나오는데
2년전이 5년전보다 지금은 훨씬 적은 수의 가입이 되었네요
이렇게 확인을 하셨으면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는 탈퇴를 해야겠지요.
그중에서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가 있으면
앞에 네모박스에 체크를 하고
이렇게 탈퇴 신청을 하면 됩니다
다만 탈퇴신청이 안되는 사이트도 있을 수도 있습니다
체크하고 탈퇴처리에 동의를 하면
탈퇴가 됩니다
이렇게 다하고 나면 탈퇴신청이 잘되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렇듯 나의 개인정보로 얼마나 많이 사이트에 가입이 되어 있는지
다들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사이트 (0) | 2014.02.18 |
---|---|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소송 (0) | 2014.02.08 |
이번 카드사태 이후로.. (0) | 2014.01.22 |
2014년에 새로 생기는 장기펀드 (2) | 2014.01.20 |
상속재산의 50%는 배우자몫 이라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군요... (0) | 2014.01.18 |
2014. 1. 23. 07:10 보험
저번에 의료실비에 대해서 포스팅 했었고
오늘은 생명보험이나 손해보험에서 일반 특약(담보)중에
갱신형과 비갱신형의 금액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갱신형이란 일정기간별로 보험료가 인상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갱신형이란 일정기간 동안만 보험료를 납입한다는 것입니다.
자료를 보면 이렇습니다.
갱신형 보험특약은 5년마다 갱신되면서 상승하고
비갱신형특약은 20년만 납입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갱신형은 보험료가 매월 14,400원 밖에 되지 않지만
비갱신형은 81,100원 입니다.
그리고 총납입금액을 보시면 2배 좀 넘게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비갱신형이 좋다는 건 아닙니다.
20년 동안 매달 많은 금액을 받아놓고 투자를 하면
보험회사의 공시이율로 계산하면 30세 부터 받는 보험료를
80세까지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딱 비갱신형 정도의 금액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니 갱신형은 딱 5년동안의 보장만큼의 보험료를 내는것이고
비갱신형은 20년동안 80세까지의 리스크에 대해 보험료를
내는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나이가 젊은분들은 무조건 비갱신형이 유리하고
40~50대 정도분들은 비갱신으로 하기보다는 갱신형으로
하는게 금액적으로 유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비갱신형은 가입시 그 나이의 위험률만큼 보험료가 산정되니
젊을때는 건강하므로 보험료가 저렴한데 그금액을
정해진 기간(20년)만큼만 내면 되므로 좋지만
나이가 많을때는 위험률이 높기 때문에
그 금액을 정해진 기간(20년)동안 내는게 갱신형보다 많을수도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또 진단시 납입면제 같은 기능도 있으므로)
그 다음 보험료를 내는 기간을 생각해보면
비갱신형은 내가 경제활동을 할때까지만 보험료를 내면 되지만
갱신형은 내가 은퇴를 해서까지도 계속 상승하는
보험료를 부담해야 된다는 것이 리스크가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어차피 의료실비도 갱신을 하므로
두 가지의 보험이 다 갱신을 하면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히 많을것입니다.
오늘은 나름 제가 공부하고 연구한 차이를 말씀드렸고
뭐가 좋다기 보다는 그사람의 나이,성향,은퇴이후의 소득
등을 고려해서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축성보험의 비과세 (0) | 2014.02.11 |
---|---|
일상생활중배상책임보험이란 (0) | 2014.02.07 |
보험의 세금 (2) | 2014.02.03 |
의료실비란..? (0) | 2014.01.10 |
생명보험 손해보험 차이는..? (0) | 2014.01.04 |
Copyright © 금융,부동산,그리고 IT 스타트업 운영기록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